suparc architects schweitzer song seoul/frankfurt

I     news
II    profile
        2.1  ryul song
        2.2  christian schweitzer
        2.3  office
III   work
        3.1  projects
        3.2  competitions
        3.3  theory
IV    exhibitions
        4.1  installations
        4.2  project exhibitions
        4.3  curation
V     publications
VI    teaching
        6.1  design studio
        6.2  theory classes
        6.3  lectures
        6.4  workshops

          6.4.1 kaist student association workshop 2011 / design for a kaist museum
          6.4.2 prada transformer / trans-formation workshop / the student-takeover
          6.4.3 sa international summer workshop 2008 in conjunction with AA school london / korean DMZ: a border opportunity
          6.4.4 sa summer workshop 2007 / hyper.polis - old watercourses, new perspectives - seoul
                studio schweitzer song ahn / foster's home for imaginary friends

          6.4.5 sa summer workshop 2006 / hyper.polis - slow city - suncheon
                studio schweitzer song / prototyping - local strategies and global thinking

prototyping - local strategies and global thinking
studio ryul song, christian schweitzer
with jeungyoung joo, jaewon cho, hyerin ahn, jijeung park, kiseup chang, hyunah shin, yongbu kim, hyunyoung lee, sunchul bea

in sa 2006 summer workshop_hyper.polis II_slow city suncheon, sa school /
sa seoul association of architects
workshop july 29 - aug. 04 2006, the suncheon university, suncheon
exhibition aug. 18 - 25 2006, soeytdae museum, seoul
exhibition aug. 27 - 30 2006, suncheon city hall, suncheon


content: synopsis / studio work / post-suncheon / exhibition / publication




Synopsis / Prototyping - Local Stategies and Global Thinking
by Christian Schweitzer

A large group of architects and architecture students based in Seoul will visit Suncheon and dream up schemes that completely change the face of a place that they will probably never visit again. "Models and drawings will establish a dramatic contrast between the fabric of the existing city and a wide array of exotic implants. It's a kind of invasion by architecture, a foreign takeover. We, the outsiders, arrogantly project our fantasies onto someone else's city. Do we really understand the local traditions, rhythms, pathology and complications? What kind of feel do we have for the place? Can it be anything other than the superficial feel of the tourist, even if it is the earnest tourist who deliberately wanders away from the guided tour to take snaps of unadvertised local color? Tourists, like any other kind of invaders, always leave their mark. Architects simply want to leave huge marks. As they travel through the world, they imagine it completely transformed behind them. They want to leave a trail of architecture, a shiny wake of memorable structures. Always on the move, the architect is a kind of industrial harvester, relentlessly churning up unsuspecting cities, mixing elements picked from other places into the mulch of building parts and depositing tightly bundled assemblages behind them."
1)

Since the emergence of the Bilbao-effect more and more "provincial" cities try to utilize this psychology inherent to the architect. At awareness of their preconceived local image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ey immediately try to jump from local to global, to place themselves on the global map as a hyper-national enclave. On this global map the prevalent definitions of what is metropolitan and what is provincial, what is global and what is local, are obsolete. "Rome is no longer in Rome, it is everywhere I am."
2)
The carrier wave to achieve this goal is either high-technology or high-culture and therefore per definition unrelated to a physical location. The city plugging into this global flow provides a stopover, facilitates the data stream with a node to materialize for a millisecond in order to re-induct the produced data back into the flow. The local identity is replaced by a trans-national generic identity that strangely enough rediscovers suppressed staggered-pieces of the local consciousness in order to stay distinguishable. By confronting the local with the global, by making them comparable "identity centralizes; it insists on an essence, a point."
3)

Therefore despite all criticism the global has a distinct potential to generate an individual identity on a local scale. Not through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a cultural institution which at start is needed to perform the linking process to the global, but through the re-development of the local infrastructure. The Bilbao-effect initiated by an outstanding piece of architecture resulted in a complete makeover of the existing city, a fundamental upgrade of the infrastructure (road network, public transportation, commercial zones, business parks), numerously new jobs (most of them surprisingly not related to tourism) and therefore attracted new inhabitants (not to confuse with the tourists) which had to be accommodated in new housing developments. So the result of linking to the global is growth which is the equivalent of alienation which causes the antagonism of evolvement and reinforcement of a re-defined local identity.

Looking at the Korean countryside one crucial aspect of the city-infrastructure immediately catches one's eye: the Korean apartment building 'APT'. Developed as a solution to satisfy a pressing demand for mass accommodation in the exploding metropolis of Seoul in the 1980s it faces the absurd tendency of being placed even into the smallest village in the Korean sticks destroying its scale, density and primarily its identity. The first and biggest thing I see approaching a new city is the same I just saw leaving the latter, so my memory of the place is immediately submerged into a primordial soup before it could even evolve. The explanation to this phenomenon li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APT from a physical and functional solution for the middle class to a metaphysical and sociological imperative serving all classes of Korean society. Due to the engrained desire of Koreans to move up into an always higher ranking socio-economical class the APT has become a non-place for hopes and dreams disconnected from a physical location.
4) The global linkage of a city demands the opposite: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fundamentals of life. In this development housing plays a central role. The very basic canvas of every-day life has to localize, has to give a distinct local identity that places the inhabitant out of a national context into the global linkage by emphasizing the physical location ergo the local ...
        ... so let's go to Suncheon and develop a piece of "downtown" or the periphery, or even start a new city in the middle of nowhere, and so trigger the boom that puts the city on the map.
3)

For the workshop preparation the students will be asked to analyse the Suncheon City advertising film in the respects of the expressed needs and desires of Suncheon as a global city, and to compare it with similar self-profiling of other cities. From this analysis architectural and conceptual strategies to "brand" the city should be developed and tested through the media of film and collage. Furthermore the students have to identify through the digital map, image material and satellite photos possible areas in and around Suncheon that represent a distinct local identity in topography, relation to nature and infrastructure and carry the potential of a far reaching impact through architectural development. First evaluations have to be made to define adequate typologies and first ideas for an urban planning strategy have to be developed. In the beginning of the main worksho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tudies a development area and an urban planning strategy will be determined. The students then will be asked to design scenario solutions for the global branding of the city of Suncheon according to the theme of "Prototyping - Local Strategies and Global Thinking" with the focus on generating new typologies evolving from loc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dapted to a global knowledge.



Notes:
1) Paraphrased from Mark Wigley, "Local Knowledge," in show your hand (Frankfurt, Germany 2000), p. 5-7;
2) Jean Racine, "Rome n'est plus dans Rome; elle est toute ou je suis."quoted in Guy Debord, "Comments o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Paris, France 1988);
3) Paraphrased from Rem Koolhaas, "The Generic City", in S,M,L,XL (New York, USA 1995), p.1238-1267;
4) Compare with Kim Kwang-soo, "The Other Public Space: The Korean '-Bang' Culture," in Germany Korea Public Space Forum (Frankfurt, Germany 2005), p. 63-73.


















Suncheon Promotion Video
Suncheon Promotion Video
Suncheon Promotion Video

Filmstills from the Suncheon Promotion Video
http://www.suncheon.go.kr/index.jsp
(c) 2005 Suncheon City






Suncheonization
Studio Work                                                       (read full text here)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sa workshop 2006

back to top





Post-Suncheon / A Discussion
by Jijeung Park, Jeungyoung Joo, Jaewon, Yongbu Kim, Sunchul Bea


조재원
건축가들과 아티스트들이 만난다. 순천을 읽고, 분석하며, 제안을 한다. 개성 있는 시각들과 결과들... 하지만 무엇보다도, 서로 이렇게 한 자리에 만나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 같다.
김용부 순천이 바뀌는 양상은 주변과의 연계를 꾀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 도시로 성장하려는 모습이었다. 다른 도시들과 비슷해 보이는 순천에는 뭔가 활력소적인 것이 필요했다. 기존과 이어지면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그러던 중 남승룡 마라톤과 연관되어 동천과 순천만, 낙안읍성을 잇는 마라톤 코스를 생각하게 되었다. 국제적인 대회유치가 기존의 남도음식문화축제와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런 제안은 피상적인 방법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워크샵에서 분석과 맵핑을 근거로 한 구상이 아닌 자유로운 사고과정을 담아내는 방법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이런 사고방식이 나의 건축적 구축방법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박지정 새로운 어떤 것을 시작한다는 것. 어느 곳의 일원이 되어 무언가에 참여한다는 것은 늘 기대되고 설레는 일이다. 특히나 내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건축에 대한 것이라면 더욱 그렇다.

사람

주정영 ‘살아있다’는 그 자체를 완료 아닌 완료형으로 맺음한 순 우리말. 살아있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숨 쉬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살아있는 것인가? 그보다 더 깊은 의미는 없을까? 사람이 사람일 수 있게 하는 어떤 것, 그것은 기억일지도 모른다. 기억되는 것, 기억하는 과정, 그래서 연속적인 것...이러한 것이 삶이라는 것을 성립시키는 것은 아닐까? 기억이란 곧 정보. 역시 사람이란 존재는 정보의 결절점인가.
박지정 ‘마음은 전해진다’라고 하지만, 얼마나 잘 드러내고 표현하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심하고 우회적인 표현방식은 때로는 나의 진심에 대한 왜곡과 타인의 진실한 접근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자신감과 솔직함은 자신을 어떤 사람이 아닌 바로 ‘그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
조재원 서로 만난다는 것은 소통을 의미한다. 소통은 우리에게 혼자만으로는 생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생각들을 제시해 준다.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 전혀 새로운 사람들과 만난다는 것은 우리를 더 새롭게 해주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를 즐겁게 해주는 계기가 된다.

만남

김용부 학교, 나이, 성별도 다른, 전혀 모르던 사람들이 한 가지 목적과 뜻을 가지고 모였다. 함께 고민하고, 의논하고, 토론했고, 같이 먹고 자고 밤새며 며칠을 보냈다. 각자 다른 생각과 고민을 같이 풀어가면서 의견이 맞지 않기도 했고, 서로의 입장을 잘 헤아리지 못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도시를 고민하고 새로운 순천을 만들겠다는 열정과 노력이 있었기에 아주 피상적이나마 변화 가능한 순천의 모습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뤄진 인연을 감사히 여기며 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박지정 혼자만의 틀을 깰 수 있는 기회, 만남. 나의 사고방식에 지루함과 식상함, 한계를 느낄 때쯤, 누군가와의 교류와 대화는 신선한 공기가 되어준다. 인연이라는 것이 항상 자신과 척척 들어맞는 톱니바퀴 같은 것은 아니지만, 삐걱거림 속의 특별한 어떤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조재원 단순히 사람과 사람간의 만남만이 아닌, 우리는 순천이라는 도시와도 만났다. 이 도시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이며, 건축가로써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를 하면서, 동시에 우리는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 순천을 만나지 않았다면 몰랐을 새로운 사실들을 접한다. 순천과 대화를 하면서, 서로 소통하기 시작한다.
배순철 만남? 누구와, 언제, 어디서, 왜...? 난 그냥 이것저것 따지지 않는다. 우선 무작정 만나고 싶다. 만남 자체가 좋기 때문에...이유나 방법, 목적 이런 것들은 나중에 생각하고 싶다.
주정영 人間이란 人의 間. 間이란 사이, 만남, 교차, 접점이다. 수많은 정보의 결절점이자 집합체지만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 삶이라면 서로 만난다는 1차원적인 것이 아닌 그 자신과 남으로 나뉠 수 있게 만드는 그 원리자체, 그리고 그것이 현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빛이 없다면 그림자도 없는 법.

도시

박지정 느림의 도시 순천, 매력적인 단어들의 조합이다. 보통 문화, 예술, 과학기술 등이 도시라는 단어 앞에 붙기 마련인데 느림과 도시라-아이러니컬하면서도 흥미롭다. 도시는 정책이나 계획 등에 의해 외형적으로 변화할 수 있지만 그들의 고유성이나 사람들의 템포는 꼭 그에 뒤따르지는 않는다.
조재원 도시는 매우 복잡하다. 그것이 설령 작은 중소도시라 할지라도. 그렇기 때문에, 도시를 정확히 분석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자칫 잘못하다간 다람쥐 쳇바퀴 돌리는 일에서 머무를 수도 있다.
주정영 각각이 무한대인 사람, 그리고 그 사람 자체를 존재할 수 있게 하는 만남, 이것이 현실에서 역시 무한히 부딪히고 공존하는 곳이 도시이리라. 수학에서의 무한대(∞)+ 무한대(∞)는 역시 다시 무한대 (∞)이지만, 도시는 이미 앞의 두 가지를 포함한 무한대(∞). 우리가 피상적으로 받아들이는 도시란 실은 이렇게 이루어진 것. 사람의 운명은 반복되는 듯 보이지만 실은 나선형이다.
김용부 도시는 누구 한 사람의 의지나 생각만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며 단시간에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의지와(그것도 내부발생적인 힘과 외부에서 주어지는 힘이 합쳐져서) 오랜 시간에 걸친 변화가 누적된 결과이다. 오늘도 도시는 자신의 정체를 찾아 끊임없이 변화한다. 순천이란 도시는 그 자신만의 정체가 뚜렷하지 않았다. 아름다운 자연과, 도시와 농촌이 결합된 형태에다 공업인구와 농업인구가 적당히 섞여있고 신도심과 구도심이 공존하고 있는 한마디로 변화하는 과정 내에 있으며 자신의 정체를 찾아 끊임없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배순철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프다. 복잡함, 다양함... 도시는 알면 알수록 부족한 것 같고, 손대면 손댈수록 엉망이 되어 결국에는 그대로 두는 것이 제일 좋은 것 같다. 그렇지만 그냥 내버려둘 수도 없는 것이 도시이다.

건축

주정영 극과 극은 통한다고 했던가? 이렇듯 무한대(∞)×무한대(∞)×무한대(∞)의 결과물인 도시는 건축이라는 매우 간단하고 현실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하지만 선행되는 무한대(∞)×무한대(∞)×무한대(∞)를 이해하지 않고 건축으로 단순화시켜 버림으로써 우리는 그 원천인 삶, 사람에서 벗어나고 있지는 않는가? 이 문제는 순천에서도 역시 드러나고 있다. 이제 악순환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우리의 건축은 진정한 앎을 필요로 하고 있다.
돈오돈수(頓悟頓修). 바르게 깨우치는 것과 바르게 행동하는 것은 같다.
배순철 이제 만 25세인 내가 ‘건축은 이것이다’라고 말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이다. 그래도 건축이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당신이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이 건축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건축...? 역시 노코멘트이다.
박지정 인간의 삶과 직결되는, ‘삶의 그릇‘이라 일컫는 건축.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 빚는 그릇인데 그 수많은 심오함과 논리, 의미들이 그리 중요할까. 만든 사람이 즐겁다면, 받는 사람도 행복한 마음이 전해지리라 믿는다. 물론 가벼운 즐거움, 무통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
조재원 도시를 건축 하나만으로 바라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도시를 읽는 것이 건축가로써 하나의 의무가 될 수도 있지만, 우리끼리만 이야기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건축을 하다 보면 이런 문제가 종종 등장하게 되는 거 같다. 워크숍 자체가 건축인만을 위한 모임이다... 우리는 도시를 정확히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발췌| 순천 워크숍 후의 온라인 토론, 2006. 08, 편집: 박지정



back to top






SA Studio
SA Studio

          6.4.6 ua-sa winter master class 2005 / cheonggyecheon cha-cha

VII   contact


© suparc schweitzer song 2000-2013